주안대학원대학교

본문 바로가기
즐겨찾기 English
사이트 내 전체검색
대학소개
대학소개 학교소개 섬기는 사람들
섬기는 사람들
전임교원
  • 김종성 교수 Th.D. / 장로회신학대학교

    T. 070-4270-7420   E. abraham@jiu.ac.kr

    상세약력보기상세약력보기
    김종성 교수는 총회파송(예장통합) 도미니카공화국 선교사로 20년 이상 사역했으며, IED총회신학교에서 부총장, PCK(예장통합) 선교교육원 원장을 역임했고, 현재 한국로잔중앙위원, PCKMK사역위원회 서기, GMCC, Beraca 연구소 대표, 한국개혁신학회 를 맡고 있다. 하나님의 뜻을 선교적으로 새롭게 인식하려고 연구하는 선교신학자이고 연구 분야는 현대선교신학사상, 에큐메니칼 선교, 선교해석학, 도시선교와 지도력 개발, 하나님의 선교안에서의 타종교, 사회조사방법론, 교회성장학, 로마 가톨릭교회, 선교사의 생활과 사역 등이다.
    상세약력보기 팝업닫기
    김종성 부교수

    김종성 교수

    학력

    경복고등학교 졸업
    장로회신학대학교 졸업(Th. B.)
    장로회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 졸업(M. Div.)-선교신학 부전공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대학원 졸업(Th. M. in Missiology)
    장로회신학대학교 대학원 신학박사 졸업 (Th. D.)

    사역경력

    현. 주안대학원대학교 교수(선교신학 전공) (2011년- 현재)
    현. Mission Co-worker of the Dominican Evangelical Church
    현. 도미니카공화국복음교단 총회신학교 명예부총장(2013년 1월 -현재)
    현. 한국로잔중앙위원 (2011-현재)
    현. 총회 MK사역위원회 서기(2013년 5월-현재)
    현. 선교 타임즈 편집위원(2016년 10월-현재)
    현. 전방개척선교 KJFM(Korean Journal of Frontier Missions) 편집위원(2019년 9월-현재)
    현. 한국개혁신학회 학술운영이사(선교신학 부회장/2018년 5월-현재)
    현. 선교교육재단 훈련원장(2014-)
    현. 선교교육재단 이사회(감사) (2019-)
    현. 한국세계선교협의회(KWMA) MK영역 실행위원회 위원(2018년 11월-현재)

    전. 총회산하기관 및 선교재산문제연구위원회 전문위원(2018년 1월 26일-2019년 9월)
    전. 대한예수교장로회(PCK) 총회 파송 도미니카공화국선교사(1995.11-2014. 4.)
    전. 총회(PCK)파송 아이티선교사 겸직(2010-2014.4)/아이티 지진 재해로 사역지 확장
    전. 총회세계선교부 선교교육원장(선교훈련원장)
    (Missionary Training Director)(2010년-2014.4.)
    전. 총회파송선교사훈련 업무교육 교관(2004-2010년)
    전. 도미니카공화국복음교단 총회신학교 부총장(Vice Rector)(2007.7-2012.12)
    전. 도미니카공화국복음교단 총회신학교 교수 (1997-2007년)
    전. 총회세계선교부 도미코스쿠바 현지선교사회 회장(2006-2014.4)
    전. 총회세계선교부 중미지역 코디네이터(2012. 7.-2014.4)
    전. 총회세계선교부 중미선교사회 총무 역임(2004-2008년)
    전. 한국선교 KMQ 집필위원(2002년 겨울호-2012년 여름호)
    전. 총회(PCK)아이티재해구호 정책자문위원(2010년-2014년 4월)
    전. 히마니 에큐메니칼 디아코니아법인 이사장/97-3차 사회봉사부실행위원회
    전. 세계한인선교사회(KWMF) 신학분과장(2012년 7월-2016년 6월)
    전. 도미니카공화국 한인선교사회(초교파) 초대회장 역임(2005-2006년)
    전. 영락교회 전도사(해외선교부, 서대문교구 담당)
    전. 연동교회 교육목사, 부목사(대우)
    전. 총회 세계선교부 간사
    전. 장로회신학대학교 강사(2004-2005년)

    포상경력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 공로패 수상(95회 총회)
    도미니카공화국복음교단 총회 공로패 수상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장 15년 선교사 근속패 수상
    아이티복음교단총회 총회 공로패 수상

    연구업적
    박사논문(Th.D.):
    “중보자(파라클레토스)의 성령론과 마리아 중보사상의 비교 연구”(장로회신학대학교, 2009)
    석사논문(Th.M.):
    “교회 일치 운동과 로마 가톨릭 문화권 선교 연구”(장로회신학대학교, 2001)

    저서
    1. 선교사의 생활과 사역(한국장로교출판사) 2006년
    2. Vamos a ser cristianos (그리스도인이 됩시다.) (Hachon Press)
    3. 마리아 중보 사상 (미션 아카데미)
    4. El camino para llegar al Cielo.(천국에 이르는 길) (Mission Academy) 2010년
    5. 스페인어 찬송가 제작: El HIMNARIO ECUMENICO(에큐메니칼 찬송가) 2004년
    6. 하나님의 선교사 A to Z(두란노) 2014년
    7. 세계선교 길라잡이(공저) (케노시스) 2015년
    8. 미시오 트리니타티스(한들출판사) 2019년
    9. 삼위일체 하나님의 선교 패러다임 I. (한들출판사) 2022년

    공저
    『PCK 세계선교사회 전략기획위원회 전략기획백서』(2016)
    『세계 선교의 길라잡이』(2015)
    『세계선교 길라잡이』(공저/개정판) 2020년
    『Jesus Nuestro Amigo』(서반어, 2015)
    『선교목회』(2013)
    『선교현장 이야기』(2013)

    번역
    총회 국내선교부 전도학교 전도지 “사랑의 이야기(the Love Story)” 스페인어로 번역 인쇄, 중남미 21개국에서 사용(La Historia del Amor)

    게재논문
    순번 | 제목 | 종류 | 출판사 | 발간일

    1 | 재난 지역에서의 평화에 대한 선교적 이해 | 선교와 신학 제26집 | 장로회신학대학교출판부 | 2010년
    2 | 한국적 선교신학 형성 모색 | 2010 한국대회 논문집 7권 | 미션 아카데미 | 2010년
    3 | 상향식 오순절 운동에 대한 변증 | 선교와 신학 제27집 | 장로회신학대학교출판부 | 2011년
    4 | 선교적 관점에서 본 파라클레토스에 대한 이해 | KMQ 제39호 | KWMA | 2011년
    5 | 엘로힘과 야웨 속에 나타난 하나님의 선교 | 선교신학 제33집 | 한국선교신학회 | 2013년
    6 | 로마가톨릭 문화권의 중보 사상에 대한 이해 | 미션 네트워크 제3집 | 주안대학원대학교출판부 | 2013년
    7 | 가시적 교회 구조속의 선교 리더십 고찰 | 미션 네트워크 제4집 | 주안대학원대학교출판부 | 2014년
    8 | 예수 전승에 나타난 하나님 나라에 대한 선교적 이해 : Q자료를 중심으로 | 선교신학 제39집 | 한국선교신학회 | 2015년
    9 | 1970년대-80년대의 전도 유형과 방법 | 제2회 서산현대목회포럼 | 현대목회연구소 | 2015년
    10 | 네트워크(Network) 선교의 성서적, 선교 신학적 이해 및 적용 | 주안선교세미나 | 주안교회 선교국 | 2016년
    11 |선교사 멤버 케어의 현재와 개혁 방향 | 선교와 신학 | 장로회신학대학교출판부 | 2017년 봄호 제41호
    12 | 바울의 칭의론 속에 나타난 하나님의 선교 | 47회 학술 심포지움 | 개혁신학회 | 2017년 5월 27일
    13 | 비판적 상화화 관점에서 본 선교적 교회 | 선교신학 47 | 한국선교신학회 | 2017년 제47호
    14 | 동반자 선교에 대한 선교신학적 함의 찾기 | KMQ | KWMA | 2017년 겨울호
    15 | 동반자 선교 관점에서 바라본 한국 선교 교육 재 고찰 | 2017JIU학술세미나 | 종교개혁500주년과 선교교육 | 주안대학원대학교 | 2017/11/13
    16 | 바울의 칭의론과 하나님의 선교와의 상관관계연구 | 선교신학 49 | 한국선교신학회 | 2018년 제49호
    16 | 중미, 카리브 지역에서의 선교 이해 | NCOWE VII | KWMA | 2018/6/23
    17 | 모달리티 구조(교단선교부) 속에서의 MK 사역 | NCOWE | KWMA | 2018/6/23
    18 | 2018 한국 선교 KMQ 포럼 ‘선교와 패러다임, 선교와 거버넌스(효율적인 선교행정구조)’ 발제들의 제언에 대한 붙임 | KMQ 2018 가을호 | KMQ | 2018/9
    19 | 동질성의 원리 관점에서 분석한 한국 선교사의 현지인 목회에 대한 비평적 고찰 | 안디옥 포럼 | AWMJ | 2019/5
    20 | 동일화, ‘동질성 원리’ 관점에서 분석한 | ‘선교사의 현지인 목회’에 대한 비평적 고찰 | 복음과 선교 46 | 한국복음주의학회 | 2019/6
    21 | 상호 이해 선교 패러다임 속에서의 선교지 재산권에 대한 선교신학적 응답 | 한국선교KMQ 포럼 | KWMA KMQ 71호 | 2019/7
    22 | 동질집단 최소단위 구성원 전도 장벽에 대한 선교적 이해 | 남산 포럼 | 한국선교교육재단 | 2019/8
    23 | 동질집단 최소단위 구성원 전도 장벽에 대한 선교신학적 이해 | 선교와 신학 제49집 | 장로회신학대학교 출판부 | 2019/10/30
    24 | 다문화사회, 지역사회 기반 교회평생교육을 통한 이주민 선교에 대한 논찬 | 한국 기독학회 논찬 | 한국기독교학회 | 2019/11.1-2
    25 | 멜기세덱의 반차에 대한 선교신학적 함의 | 한국개혁신학회 선교신학 | 한국개혁신학회 | 2019/12/7
    26 | Missiological Response to Mission Field Property Rights from the Mutual Understanding Mission Paradigm | KMQ2020 English | 2020/10/26 "멜기세덱의 반차에 대한 선교신학적 함의 연구: 창14:18-20; 시110:4; 히5:6-11; 6:20; 7:1-28을 중심으로", | 선교신학60집 | 한국선교신학회 | 2020/11/
    27 | "(With or Post) 코로나19 상황에대한 선교적 이해 및 적용", 『미션네트워크』 제8집 , 2020, 11-37 | 미션 네트워크 제8집 | 주안대학원대학교 | 2020/11/
    28 | "삼위일체 하나님 신앙고백 관점에서 본 멜기세덱에 관한 선교신학적 함의 연구", 『선교와 신학』 제53집 | 선교와 신학 제53집 | 장로회신학대학교 출판부 | 2021/2/28
    29 | 발제: JIU 학위논문에 대한 literature Review | 2022 JIU개교10주년 학술세미나 | 주안대학원대학교 | 2022년 2월 28일
    30 | 전방개척선교 미주권 선교 분석과 평가 | 전방개척선교, V98 | KJFM | 2022년 1-2월
    31 | 라틴아메리카 지역을 전방개척 선교지로 볼 수 있는가 | 전방개척선교 V100 | KJFM | 2022년 5-6월
    32 | 맥가브란과 타운젠트의 선교 전략과 오늘의 선교 | KMQ Vol. No4, | 선교한국KMQ | 2022년 여름호

    선교 관련 저널 논문 및 발제
    1 | 선교사의 선교실태와 윤리적 반성 | 정기 간행물 | 기독교사상 | 1995년 2월
    2 | 선교영역 개발 | 포럼 발제문 |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 | 2008년
    3 | 현지 선교회 중심의 선교 정책에 대한 효율성 검토 | 전략회의 발제문 |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 | 2011년
    4 | 수평적 리더십에 대한 논찬 | KWMF 발제문 | KWMF(세계한인선교사회) | 2011년
    5 | 중미 선교 미래를 위한 한국 교회의 역할 | 전략회의 발제문 |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 | 2011년
    6 | PCK 선교사 훈련의 방향 | MTEC 선교저널 제1호 |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MTEC | 2012년
    7 | 건강한 하나님의 선교를 위하여 | MTEC 선교저널 제2호 |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MTEC | 2012년
    8 | 하나님의 이름 속에 나타난 하나님의 선교 | KWMF 자료집 | KWMF | 2012년
    9 | 동반자선교의 한축, 히브리서 8장에 근거한 새 언약의 제사장과 같은 선교사 | MTEC 선교저널 제3호 |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MTEC | 2013년
    10 | 초대받은 선교 | MTEC 선교저널 제4호 |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MTEC | 2013년
    11 | PCK 선교 리더십 | 2013년 방콕 서밋 발제문 | PCKWM | 2013년
    12 | 선교논단: 하나님의 선교와 하나님의 선교사 | 선교타임즈 12월호 | 선교타임즈사 | 2014년
    13 | 선교논단: 선교사와 준비 | 선교타임즈 1월호 | 선교타임즈사 | 2015년
    14 | 선교논단: 선교사와 문화 | 선교타임즈 2월호 | 선교타임즈사 | 2015년
    15 | 선교논단: 선교사와 언어 | 선교타임즈 3월호 | 선교타임즈사 | 2015년
    16 | 선교논단: 선교 사역의 원칙 | 선교타임즈 4월호 | 선교타임즈사 | 2015년
    17 | 선교논단: 선교사의 책무 | 선교타임즈 5월호 | 선교타임즈사 | 2015년
    18 | 선교논단: 선교사와 현지인, 현지 그리스도인 | 선교타임즈 6월호 | 선교타임즈사 | 2015년
    19 | 선교논단: 부인 선교사를 위한 지침 | 선교타임즈 7월호 | 선교타임즈사 | 2015년
    20 | 선교논단: 선교사와 선교사 자녀 | 선교타임즈 8월호 | 선교타임즈사 | 2015년
    21 | 선교논단: 선교사와 선교 소식 | 선교타임즈 9월호 | 선교타임즈사 | 2015년
    22 | 선교논단: 선교사와 영성 | 선교타임즈 10월호 | 선교타임즈사 | 2015년
    23 | PCK 선교정책에 대한 제고와 대안제시(논찬) | 제3차 PCK미션서밋 | PCKWM | 2015년
    24 | 에큐메니칼 협력 선교의 현장 보고 세미나 | 글로컬현장연구소 | 장로회신학대학교 | 2015년
    25 | ‘한국 선교사의 라틴 아메리카 제자훈련 선교’에 대한 논찬 | 제3회 안디옥 선교포험 | 안디옥 포럼 | 2016년
    26 | 하나님의 선교 관점에서 본 MK교육 및 MK사역 | MK저널 창간호 | PCKMKC | 2016년
    27 | 현지인 리더십 아래에서 이루어가는 하나님의 선교 | 한국선교지도자포럼 | KWMA | 2016
    28 | 누가 전문인 선교사인가? | 선교타임즈 2017년 2월 | 선교타임즈사 | 2017년
    29 | 새로운 지평의 전문인 선교를 향하여 | 선교타임즈 2017년 3월 | 선교타임즈사 | 2017년
    30 | 전문인 선교와 F1, F2, F3 지역 선교 | 선교타임즈 2017년 4월 | 선교타임즈사 | 2017년
    31 | 특집: 빌리 그래함 | 선교타임즈 2018년 | 선교타임즈사 | 2018년
    32 | 특집: 동성애 | 선교타임즈 2018년 9월 | 선교타임즈사 | 2019년
    33 | 선교논단: 선교리더십 | 선교타임즈 2019년 3월 | 선교타임즈사 | 2019년
    34 | 선교논단: 선교리더십 | 선교타임즈 2019년 4월 | 선교타임즈사 | 2019년
    35 | 선교논단: 새로운패러다임의 선교사 교육 및 훈련을 추구하며 | 선교타임즈 2019년 10월 | 선교타임즈사 | 2019년
    36 | 선교논단: 지난 일을 교훈삼아 | 선교타임즈 2019년 11월 | 선교타임즈사 | 2019년
    37 | 전방개척 선교를 위한 라틴 아메리카 선교지역 이해 | 전방개척선교 2020년 1-2월 | 선교타임즈사 | 2020년
    38 | 선교칼럼: 하나님의 선교에 있어서 선택과 집중 | 선교타임즈 2020년 4월 | 선교타임즈사 | 2020년
    39 | 선교논단:환란과 박해 속에서 존재하는 선교적 그리스도인 | 선교타임즈 2020년 5월 | 선교타임즈사 | 2020년
    40 | 라틴 아메리카의 문화와 종교적 심성이해 | 전방개척선교 2020년 5-6월 | 선교타임즈사 | 2020년
    41 | MK사역에 대한 또 다른 이해 | 미션 플랫폼 2020년 여름 | 총회MK사역위원회 | 2020년
    42 | 선교논단: 선교적 관점에서 본 예수의 부활 | 선교타임즈 2020년 10월 | 선교타임즈사 | 2020년
    43 | 선교논단: 하나님의 영광을 위한 선교 | 선교타임즈 2020년 11월 | 선교타임즈사 | 2020년
    44 | 선교논단: 예수 그리스 중심의 선교 | 선교타임즈 2020년 12월 | 선교타임즈사 | 2020년
    45 | 선교논단: 성령의 이끌림을 받는 선교 | 선교타임즈 2021년 2월 | 선교타임즈사 | 2021년
    46 | 코로나19상황에 대한 선교적 이해 및 적용 | 전방개척선교 2021년 5-6월 | 선교타임즈사 | 2021년
    47 | 선교사의 삶에 있어서의 고통 | 선교타임즈 2021년 6월 | 선교타임즈사 | 2021년
    48 | 선교논단: 선교적 삶을 실천하는 2022년 | 선교타임즈 2022년 1월 | 선교타임즈사 | 2022년
    49 | 선교사의 내적평안 | 선교타임즈 2022년 3월 | 선교타임즈사 | 2022년
    50 | 하나님의 선교에 있어서 동질성에 근거한 동일화 | 선교타임즈 2022년 7월 | 선교타임즈사 | 2022년
    51 | 선교의 신학적 이슈-복음주의 선교- | 선교타임즈 2022년 9월 | 선교타임즈사 | 2022년

    기타
    상호이해 선교패러다임 속에서의 선교지 재산권에 대한 선교신학적 응답, 『한국선교KMQ』 vol.19 no.1(통권 71호), 2019.

    학술대회 활동
    발제: 선교 영역 개발
    대회: PCK 선교대회(시카고)
    일시: 2008년 7월

    발제: 현지 선교회 중심의 선교 정책에 대한 효율성 검토
    대회: PCK 선교 전락회의(캄보디아)
    일시: 2011년 2월

    논찬: 수평적 리더십에 대한 논찬
    대회: KWMF 선교사 지도자 리더십 대회(캄보디아)
    일시: 2011년 3월

    발제: 중미 선교 미래를 위한 한국 교회의 역할
    대회: PCK 중미 선교사 선교 전락회의(코스타리카)
    일시: 2011년 5월

    발제: 하나님의 이름 속에 나타난 하나님의 선교
    대회: KWMF 선교대회(시카고)
    일시: 2012년 7월

    발제: PCK 선교 리더십
    대회: PCK 방콕 Summit (방콕)
    일시: 2013년 11월

    발제: 1970년대-80년대의 전도 유형과 방법
    포럼: 제2회 서산현대목회포럼
    일시: 2015년 6월

    논찬: PCK 선교정책에 대한 제고와 대안제시
    대회: PCKWM Summit(터키)
    일시: 2015년 11월

    일시:2015년 12월 4일
    장소:장신대 글로컬현장연구소
    주제:에큐메니칼 협력선교를 위하여(해외목회현장 오리엔테이션)
    사례발표: 에큐메니칼 협력 선교의 현장 보고
    주관:장로회신학대학교

    발제: 바울의 칭의론 속에 나타난 하나님의 선교 이해 로마서 1:1-4:25를 중심으로
    대회: 한국개혁주의 학회(종교개혁500주년 기념 제42차학술심포지엄)
    일시: 2017년 6월

    제3회 안디옥 선교포럼
    일시: 2017년 5월
    논찬:‘한국 선교사의 라틴 아메리카 제자훈련 선교’에 대한 논찬

    KUMNAN MISSION CONFERENCE 2017(필리핀 마닐라 호텔)
    주제: 하나님의 선교, 선교적 교회 따라잡기
    일시: 2017년 6월 20-22일

    주안대학원대학교 논문발표
    일시 : 2017년 11월
    제목 : 동반자 선교 관점에서 바라본 한국 선교 교육 재 고찰

    개혁선교신학회 논찬
    일시: 2018년 5월
    제목: “다문화사회와 선교전략(이동현 박사)”에 대한 논찬

    NCOWE VII(부산 수영로교회)
    발제: 중미, 카리브 지역에서의 선교 이해
    일시: 2018년 6월 23일

    KMQ논평(KWMA)
    2018 한국 선교 KMQ 포럼 ‘선교와 패러다임, 한국선교 거버넌스를 위한 제언
    일시: 2018년 7월 KMQ67호

    KWMAMK영역(KWMA)
    발제: 모달리티 구조(교단선교부) 속에서의 MK 사역
    일시: 2018년 10월 19일

    2019 민간협력 인큐베이팅 프로그램 역량강화교육
    일시: 2019.2.18-20
    주최: KOICA/ 지구촌나눔운동

    2019 제4차 안디옥 선교포럼
    일시: 2019년 5월 5일-6
    발제: 동질성의 원리 관점에서 분석한 한국 선교사의 현지인 목회에 대한 비평적 고찰

    2019 KMQ 선교포럼
    일시: 2019년 7월 15일
    발제: 상호 이해 선교 패러다임 속에서의 선교지 재산권에 대한 선교신학적 응답

    2019 제1회 남산포럼
    일시: 2019년 8월 22일
    발제: 동질집단 최소단위 구성원 전도 장벽에 대한 선교적 이해

    2019 여전도회전국연합회 게속교육원
    일시: 2학기 강의
    장소: 여전도회전국연합회회관

    2019 한국기독교학회
    일시: 2019년 11월 1일-2일
    장소: 정동제일교회
    논찬: 다문화사회, 지역사회 기반 교회평생교육을 통한 이주민 선교에 대한 논찬

    2019 한국개혁신학회 제139차 정기학술대회
    일시: 2019년 12월 7일
    장소: 백석대 대학원
    발제: 멜기세덱의 반차에서 유추한 선교신학적 참의

    2020 한국개혁신학회 제140차 정기학술대회
    일시: 2020년 3월 7일
    장소: 백석대 대학원
    논찬: 배춘섭 박사의 “문화개념에 관한 신약성경의 어원적 접근”에 대한 논평
    (자료집 24쪽)

    2020 제5회 JIU 학술세미나
    일시: 2020년 11월 7일
    장소: 주안대학원대학교
    발제: “With or Post 코로나19 상황에대한 선교적 이해 및 적용”

    2021년 파라과이 장로회신학대학교 종교개혁504주년 세미나 주강사
    Conferencia Conmemorativa del 504 Aniversario de la Reforma Religiosa
    일시: 2021년 10월 27-29일
    장소: 파라과이 장로회신학대학교

    2022 JIU개교10주년 학술세미나
    일시: 2022년 2월 28일
    장소: 주안대학원대학교
    발제: JIU 학위논문에 대한 literature Review

    주요연구 분야

    선교성서신학, 현대선교신학사상, 에큐메니칼 선교, 선교해석학, 도시선교와 지도력 개발, 하나님의 선교안에서의 타종교, 사회조사방법론, 교회성장학, 로마 가톨릭교회, 선교사의 생활과 사역

  • 김광성 교수 Ph.D. / People’s University of China

    T. 032-446-5230   E. samkim@jiu.ac.kr

    상세약력보기상세약력보기
    김광성 교수는 중국 전문가이다. 중국에서 중국철학과 종교정책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고, 선교사로서 18년간 사역하였다. 북경 코스타(Costa)를 시작하였으며, 현재 한국디아스포라네트워크(Korean Diaspora Network)의 사무총장으로 섬기고 있다. 연구 분야는 중국선교, 로잔운동과 디아스포라선교, NGO, BAM 등이다.
    상세약력보기 팝업닫기
    김광성 부교수

    김광성 교수

    학력

    중국철학/선교학
    국민대학교 중어중문학과(B.A.)
    국민대학교 대학원(M.A.)
    장로회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M.Div.)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대학원(Th.M. in miss.)
    중국인민대학교(Ph.D.)

    사역경력

    KDN(Korean Diaspora Network) 사무총장(2014년-현재)
    중국 선교사(1992-2011년)

    연구경력

    주안대학원대학교 교수(2011년-현재)

    연구업적

    학위논문
    韓中基督敎新敎的傳入和髮展及其比較硏究-以十九世紀中后期至二十世紀中期爲中心, 2000.

    저서
    『중국의 종교정책과 현장사역』(2007)

    역서
    中國的宗敎問題和宗敎定策, 『중국의 종교문제와 종교정책』(2013)
    基督敎中國現代化, 『기독교와 중국 현대화』(1995)

    공저
    『당대중국 기독교 발전사』(2020)
    『21세기 선교전망과 로잔운동의 역할』(2020)
    『21세기 선교상황과 로잔운동』(2019)
    『로잔운동과 현대선교전략 : 세계복음화를 위한 로잔운동의 헌신과 실천』(2018)

    게재논문
    "로잔운동 선언문에 나타난 전문인 선교 개념 고찰", 『복음과 선교』 제54권 2호, 2021.
    "전문인 선교 전략과 신학의 관계성 고찰", 『장신논단』 제53권 1호, 2021.
    "한국 교회의 동방기독교 연구 동향 고찰" 『미션네트워크』 제7집, 2019.
    "복음주의 선교신학 관점에서 선교로서의 비즈니스선교 개념에 대한 선교신학적 근거 고찰 –로잔운동 공식문서를 중심으로" 『장신논단』 51권 5호, 2019.
    "중앙아시아 디아스포라 선교를 위한 로잔 선교신학의 실천적 적용" 『선교신학』 제56집, 2019.
    "명목상 기독교인에 대한 로잔운동의 선교실천적 자세 고찰: 교회 미출석 가족 전도 방안을 중심으로" 『선교와 신학』 제49집, 2019.
    "선교학 분야 한인디아스포 연구 동향과 과제 - 선교학 영역 한인디아스포라를 대상으로 연구한 학술지 논문(2001-2019년) 데이터 분석을 중심으로 " 『복음과 선교』 제47집 3호, 2019.
    "로잔운동의 선교신학적 관점에서 바라본 기독교 중국화 " 『ACTS 신학저널』 제40집, 2019.
    "중국의 종교정책이 한국교회의 중국선교에 미친 영향: 기독교 중국화에 대한 선교실천적 대응 " 『선교와 신학』 제48집, 2019.
    "19세기 말-20세기 초 한중 양국에서 발생한 민중운동에 미친 개신교 선교신학의 영향 고찰 " 『복음과 선교』 제46권 2호, 2019.
    "복음주의 진영의 타종교에 대한 선교신학적 인식 변화 연구: <케이프타운선언>을 중심으로 " 『선교와 신학』 제46집, 2018.
    "아세안(ASEAN)지역 거주 한인디아스포라 연구의 필요성에 대한 고찰 - 선교학 영역 한인디아스포라를 대상으로 연구한 학위논문(1982-2018) 데이터 분석을 중심으로" 『복음과 선교』 43권 3호, 2018.
    "본부 중심 구조에서 현장 중심 구조로의 전환 모색" 『PCK 해외선교 저널』 제3집 , 2018.
    "PCK(Presbyterian Church of Korea, 예장통합) 미래선교를 위한 선교구조 개혁과제 연구 : 본부중심 구조에서 현장중심 구조로의 전환 모색" 『복음과 선교』 40권 4호, 2017.
    "《종교사무조례》 수정초안에 나타난 중국 종교정책 변화와 로잔운동의 관계성 고찰" 『복음과 선교』 38권 2호, 2017.
    "로잔운동이 제시한 총체적선교 관점에서 바라본 대한민국 교회의 난민사역 고찰" 『복음과 선교』 35권 3호, 2016.
    "대한민국의 난민정책에 대한 교회의 선교실천적 접근 가능성 고찰" 『선교신학』 제43집, 2016.
    “로잔운동과 세계 디아스포라 네트워크 형성,” 『미션네트워크』 5집, 2015.
    “로잔운동과 중국 교회의 만남 가능성,” 『로잔운동과 선교』, 2014.
    “1920년대 중국의 반기독교 정서와 중국 교회의 신학적 반응 연구,” 『미션네트워크』 4집, 2014.
    “한인 디아스포라네트워크를 통한 선교자원동원 활성화 연구―한인디아스포라포럼(KDF)을 중심으로,” 『선교신학』 35집, 2014.
    “중국 종교자유정책에 대한 역사적 고찰,” 『복음과 선교』 23집, 2013.
    “중국특색의 사회주의 신학을 통한 현장최적화(Contextualization) 신학의 모색,” 『복음과 선교』 21집, 2013.
    “중국의 정치 제도와 권력 구조를 통해 본 중국의 종교 정책,” 『선교신학』, 29집, 2012.
    “중국종교정책의 변화와 재중한인디아스포라 신앙공동체의 상관성 연구,” 『미션네트워크』 2집, 2012.
    “중국어성경번역이 한국선교에 미친 영향,” 『미션네트워크』 1집, 2012.
    “중국 종교 정책의 변화와 사회 변동,” 『에딘버러세계선교사대회 100주년기념 2010한국대회 논문집』, 2011.

    학술대회 활동
    논찬: “한국인 선교동원과 훈련에 대한 자신학화”
    대회: 제6차 세계선교전략회의(2014 NCOWE VI)
    일시: 2014년 7월 15일

    발제: “한인디아스포라 포럼의 역사”
    대회: 한인디아스포라포럼(토론토)
    일시: 2014년 5월 20일

    논평: “창조질서보호 선교”
    대회: 제62차 한국복음주의신학회 정기논문발표회
    일시: 2013년 10월 18일

    발제: “중국의 작은 자를 위한 우리의 할 일”
    대회: 제50회 언더우드학술강좌
    일시: 2013년 9월 7일

    발제: “중국 종교자유정책에 대한 역사적 고찰”
    대회: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정기학술대회
    일시: 2013년 6월 1일

    발제: “중국 특색의 사회주의 신학을 통한 현장최적화신학의 모색”
    대회: KWMA, KEMS, KSOMS 공동학술대회
    일시: 2012년 6월 2일

    논찬: 한국교회 산동선교의 의의 : 하나님의 선교관점에서(김영동) 논찬
    대회: 산동선교 100주년 기념 선교학술대회
    일시: 2012년 4월 30일

    발제: “중국의 정치 제도와 권력 구조를 통해 본 중국의 종교 정책”
    대회: 한국선교신학회 2011년 정기학술대회
    일시: 2011년 11월 3일

    발제: “21세기 한국형 선교 리더십 개발 선언문”
    대회: PCK 선교전략 포럼
    일시: 2011년 10월 26일

    발제: “2011 유로비전 발제를 통해 나타난 선교적 교회 개념의 아시아지역 적용에 관하여”
    대회: 2011 한인디아스포라포럼 아시아포럼
    일시: 2011년 10월 11일

    발제: “한인디아스포라포럼 선교분과의 역사와 발전방향”
    대회: 한인디아스포라포럼 미주대회
    일시: 2011년 5월 6일

    발제: “BLTC(Beijing Mission Language Trainin Center)와 신임 선교사 언어훈련 전략”
    대회: PCK(예장통합중국선교사회) 선임선교사 전략회의
    일시: 2011년 4월 12일

    주요연구 분야

    지역학, 선교현장조사연구, 중국선교, NGO와 선교, 로잔운동과 선교, 디아스포라와 선교 등

  • 정승현 교수 Ph.D. / Fuller Theological Seminary

    T. 032-446-5254   E. kahdohshi@jiu.ac.kr

    상세약력보기상세약력보기
    정승현 교수는 선교단체(YWAM)와 전통 교회(예장 통합), 이민 교회(미국), 그리고 선교현장(인도네시아)을 두루 경험하였다. 풀러신학교에서 현대문화와 선교적 교회로 졸업논문상을 수상하였고, 자카르타신학교(STTJakarta)에서 교수 선교사로 사역하면서 이슬람을 몸으로 체험하였다. 연구 분야는 현대선교신학, 현대 문화, 선교적 교회, 이슬람, 그리고 기후 위기이다.
    상세약력보기 팝업닫기
    정승현 부교수

    정승현 교수

    학력

    선교학
    충남대학교 수학과(B.A.)
    장로회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M.Div.)
    미국 Fuller Theological Seminary(M.A.)
    미국 Fuller Theological Seminary(Ph.D.)

    사역경력

    인도네시아 선교사(자카르타신학교, 2008-2010년)
    엔텔롭밸리한인장로교회(PCUSA, 2003-2007년)
    예심교회(예장통합, 2000-2002년)
    Youth With A Mission(Kona & Montana, 1994-1996년)

    연구경력

    주안대학원대학교 교수(2011년-현재까지)

    연구업적

    학위논문(PhD)
    “The Missional Ecclesiology in Contemporary Hyperreal Culture”(Fuller Theological Seminary, 2007): 졸업논문상 수상.

    저서
    『무슬림을 향한 증인의 삶』(2019)
    『하나님의 선교와 20세기 선교학자』(2014)

    역서
    Sebastian and Kirsteen Kim, Christianity as a World Religion, 『세계 기독교 동향』(2020)
    공역: Scott Sunquist, Understanding Christian Mission, 『기독교 선교의 이해』(2015)
    Darrell L. Guder, Missional Church, 『선교적 교회』(2013)
    Campbell Gibson, The Church in the Mission Field, 『선교현장의 교회』(2012)

    게재논문
    "하나님의 선교에 동참하는 ’선교적 문화읽기’에 대한 소고" 「선교와 신학」 제56집, 2022.
    "인도네시아 선교사 서정운의 삶과 사역 그리고 선교신학에 관한 소고" 「장신논단」 제53집, 2021.
    “선교적 교회의 현장성(contextuality)에 관한 소고: 블루라이트교회를 중심으로.” 「선교신학」 제63집, 2021.
    “선교적 영성(Missional Spirituality)에 대한 소고: 대안 공동체로서, 일상에서, 하나님의 선교에 참여하는 영성.” 「선교와 신학」 제53집, 2021.
    "하나님의 선교 내러티브의 구현과 성만찬의 선교적 재해석: 선교적 예배(Missional Worship)에 관한 소고", 『선교신학』 제60집, 2020.
    "1942년 이후 인도네시아 기독교 동향 연구: 개신교와 오순절을 중심으로, 『Muslim-Christian Encounter』 vol. 13, no. 2, 2020.
    "윌버트 쉥크(Wilbert R. Shenk)의 선교적 교회론과 목회 선교학에 관한 연구" 『선교신학』 제58집, 2020.
    "케네스 크래그(Kenneth Cragg)의 이슬람 연구에 관한 소고" 『복음과 선교』 제45집 1호, 2019.
    "순니 3대 신학파에 대한 분석과 선교적 성찰" 『선교신학』 제50집, 2018.
    "샤리아와 순니 4대 법학파에 대한선교학적 고찰" 『선교와 신학』 제44집, 2018.
    "무슬림 상황화 연구: 다섯 기둥의 재사용" 『Muslim-Christian Encounter』 vol. 10, no. 2, 2016.
    "이슬람에서 배교의 이해와 선교적 함의: 개종, 신성모독, 그리고 이단을 중심으로" 『선교와 신학』 제47집, 2017.
    "꾸란의 예수 이해와 하나님의 선교" 『복음과 선교』 38권 2호, 2017.
    "시아파의 기원과 핵심사상그리고 선교적 함의" 『선교와 신학』 제41집, 2017.
    "로잔운동을 통한 이슬람 선교 연구" 『장신논단』 제48권 4호, 2016.
    "이슬라모포비아의 이해와 선교학적 함의" 『Muslim-Christian Encounter』 vol. 9, no. 2, 2016.
    "크리스텐덤의 이해와 선교적 교회론" 『선교신학』 제43집, 2016.
    "수피즘의 동향 연구: 인도네시아를 중심으로",『복음과 선교』 33권 1호, 2016.
    "「이슬람을 향한 사도」 사무엘 즈웨머의 선교이론 탐구" 『선교와 신학』 제38집, 2016.
    “이슬람에서 배교의 이해와 선교적 함의: 개종, 신성모독, 그리고 이단을 중심으로.” 『선교신학』 47집, 2017.
    “꾸란의 예수 이해와 하나님의 선교.” 『복음과선교』 38집, 2017.
    “시아파의 기원과 핵심사상 그리고 선교적 함의” 『선교와신학』 41집, 2017.
    “로잔운동을 통한 이슬람 선교 연구” 『장신논단』 48집, 2016.
    “이슬라모포비아의 이해와 선교학적 함의.” 『Muslim-Christian Encounter』 9(2)집, 2016.
    “수피즘의 동향 연구: 인도네시아를 중심으로.” 『복음과선교』 33집, 2016.
    “‘이슬람을 향한 사도’ 사무엘 즈웨머의 선교이론 탐구.” 『선교와신학』 38집, 2016.
    “이슬람 상황화선교 연구: 우드베리, 아카드, 트라비스를 중심으로” 『생명봉사적 통전선교 이해와 전망』, 2015.
    “선교적 교회론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GOCN의 연구를 중심으로” 『선교적 교회론과 한국교회』, 2015.
    “우드베리의 이슬람 선교 이론 연구” 『복음과 선교』 31집, 2015.
    “대럴 구더의 선교적 신학과 교회론” 『선교신학』 36집, 2014.
    “성문 밖에서 고난 받으신 예수 그리스도: 올란도 코스타스의 선교신학 연구” 『신학논총』 29집, 2014.
    “랄프 윈터(Ralph D. Winter)의 선교학 재탐구” 『복음과 선교』 25집, 2014.
    “교회 성장학의 태동: 도날드 맥가브란의 인도선교 연구” 『미션네트워크』 4집, 2014.
    “하나님의 선교의 기원과 발전” 『복음과 선교』 24집, 2013.
    “죄인들의 교회, 갱신하는 교회, 그리고 일치하는 교회” 『선교신학』 34집, 2013.
    “서구에서 선교적 교회론의 태동 및 발전” 『선교와 신학』 30집, 2012.
    “헨드릭 크래머(Hendrik Kraemer)의 선교신학 재조명: 인도네시아 상황을 중심으로” 『선교신학』 30집, 2012.
    “보쉬(David J. Bosch)의 선교, 전도, 그리고 교회의 상관관계 연구” 『복음과 선교』 18집, 2012.
    “선교의 성경연구 동향분석: 1980년대 이후 영미권을 중심으로” 『미션네트워크』 1집, 2012.
    “현대문화와 하나님의 선교: 세계화와 매스 미디어에 대한 선교적 응답” 『선교와 신학』 27집, 2011.
    “하나님의 선교, 세상, 그리고 샬롬: 요하네스 호켄다이크의 선교신학” 『선교와 신학』 24집, 2009.
    “하나님의 선교와 선교적인 교회: 빌링겐 IMC를 중심으로” 『선교와 신학』 20집, 2007.

    학술대회활동
    발제: “세계화와 빈곤 그리고 선교” 논찬
    대회: 한국선교신학회 정기학술대회
    일시: 2015년 6월 13일

    발제: “영화 <바세코의 아이들>의 미디어 선교 전략적 함의” 논찬
    대회: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정기논문발표회
    일시: 2014년 10월 25일

    발제: “대럴 구더의 선교적 교회론” 논찬
    대회: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정기학술대회
    일시: 2014년 5월 31일

    발제: “하나님의 선교의 기원과 발전:1952년과 2002년 빌링겐 선교대회를 중심으로”
    대회: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정기논문발표회
    일시: 2013년 12월 10일

    발제: “헨드릭 크래머의 선교신학 재조명: 인도네시아 상황을 중심으로”
    대회: 한국선교신학회 정기학술대회
    일시: 2012년 4월 21일

    주요연구 분야

    선교신학, 현대문화, 선교적 교회, 이슬람

  • 강보영 부교수 Ph.D. / University of Bristol·Trinity College

    T. 032-446-5255   E. boyoung-mi@jiu.ac.kr

    상세약력보기상세약력보기
    강보영 교수는 장신대신학대학원에 재학하면서 선교단체(YWAM)와 견습선교(인도/스리랑카)를 경험하였고, 이후 무학교회(서울노회)에서 전도사와 부목사로 섬겼다. 영국에서 바울서신 연구로 신약학 박사학위를 받았고, 학위논문은 Langham Literature의 학술서 시리즈의 하나로 선정되어 출판되었다. 현재 신약학, 신약성서선교신학 연구뿐만 아니라 한국적 상황에 맞는 선교적 교회를 위한 논의와 활동에 활발히 참여하고 있다.
    상세약력보기 팝업닫기
    강보영 부교수

    강보영 부교수

    학력

    신약학
    경북대학교 경영학과(B.A.)
    장로회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M.Div.)
    영국 All Nations Christian College(Dip. Bib. & Intercult. Studies)
    영국 University of Bristol/Trinity College(PG. Dip. Theol.)
    영국 University of Bristol/Trinity College(Ph.D in NT Studies)

    사역경력

    서울 삼각교회(담임: 임준형 목사), 협동목사(2013. 6-현재)
    서울 무학교회(담임: 김창근 목사), 부목사(2001. 10-2005. 9)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 총회세계선교부파송 인도/스리랑카 견습선교사(1994. 12-1995. 12)
    서울 무학교회(담임: 김창근 목사), 교육전도사/전도사(1996. 1-1998. 12)

    연구경력

    2014.9-현재 주안대학원대학교 교수

    연구업적

    공역
    “Michael J. Kruger (ed.) A Biblical-Theological Introduction to the New Testament: The Gospel Realized, 강대훈, 강보영 외 역, 『신약성서신학개론』, 서울: 부흥과개혁사, 2017(10월 발간예정)

    저서
    Heralds and community : an enquiry into Paul's conception of mission and its indebtedness to the Jesus-tradition, Carlisle, UK: Langham Monographs, 2016
    Heralds and Community, Paul’s Conception of Mission and Its Indebtedness to the Jesus-Tradition, Carlisle: Langham Monographs, 2016.

    공저
    『(성경신학적) 신약개론 : 실현된 복음』(2017)

    게재논문/기사
    “에베소서 6장 15절의 선교적 읽기: 명사 ‘헤토이마시아’(헬라어)의 의미를 재고하며,” 『선교신학』 45집, 2017 : 17-48.
    “하나님의 선교(Missio Dei)와 바울: ‘바울의 선교’에서 ‘선교의 바울’로의 관점전환을 모색하며,” 『선교신학』 45집, 2017 : 17-48.
    “인도 보드가야 ‘땅 밟기’에 대한 단상,” 『복음과 상황』 285호, 2014 : 112-118.
    “바울의 ‘아포스톨로이’ 개념의 범위 이해를 위한 주석적 고려,” 『미션네트워크』 5집, 2014 : 17-53.
    “빌립보서 1장 18절은 바울의 보편적 복음전도 개념을 지시하는가?: 마크 키온(Mark J. Keown)의 ειτε...ειτε 구문 분석을 중심으로,” 『복음과 선교』 25집, 2014 : 9-38.
    “바울과 교회 사이의 선교적 상관관계: 서구 바울학계의 논쟁에 대한 소고,” 『선교신학』 35집, 2014 : 11-42.

    학술대회활동
    발제: “에베소서 6장 15절 ‘헤토이마시아 본문’의 선교적 재독서”
    『'설교를 위한 성경해석 세미나』 미래문화연구원, 2019.11.14. 장소: 포항 미래문화연구원

    발제: "설교를 위한 신구약 해석 어떻게 할 것인가? 신약편"
    주안대학원대학교 2016 학술세미나(2016년 10월 24일)

    논찬: “구자용의 “아모스의 이방신탁(1:3-2:16)에 담긴 구약신학적 그리고 선교신학적 의미”에 대한 논찬”
    주안대학원대학교 2016 학술세미나(2016년 10월 24일)

    발제: “바울과 하나님의 선교: ‘바울의 선교’에서 ‘선교의 바울’로의 관점전환을 모색하며”
    한동대학교 아시아언어문화연구원(ARILC) 주최, 제 1회 교회와 선교 연구 네트워크 세미나: “지역교회와 하나님의 선교: 하나님의 선교, 오해의 경계를 넘어 교회의 교회됨으로”(2015년 8월 20일)

    발제: “종교개혁으로 우리가 얻고 잃은 것은 무엇인가?: 로마서에 나타나는 ‘칭의의 복음’ 해석을 중심으로”
    한국 선교적 교회 네트워크 주최, 종교개혁기념 선교적 교회 세미나(2014년 10월 28일)

    발제: “선포자들과 공동체: 바울의 선교 개념과 이에 대한 예수 전승의 영향에 대한 연구”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원 주최, 정례학술발표회(2013년 4월 15일)

    주요연구 분야

    바울서신, 바울선교신학, 예수-바울 논쟁, 역사적 예수, 선교적 해석학

  • 유근재 부교수 Ph.D. / University of Birmingham

    T. 032-446-5226   E. yukunjae@jiu.ac.kr

    상세약력보기상세약력보기
    유근재 교수는 필리핀, 캐나다, 미국, 영국에서 현지인 교회와 한인교회 그리고 세계선교 관련기관 등을 섬겼고 한국으로 귀국 후에는 연세중앙교회에서 다년간 교육국장으로 섬기며 선교와 교육에 관한 풍부한 현장경험을 가지고 있으며, 금란교회에서는 성서아카데미원장과 Kumnan Mission Conference 대회장으로 섬겼으며, 현재는 주안장로교회, 세종꿈의교회등에서 협동목사, 한국벤처창업학회 이사, 제 22대 한국선교신학회의 회장으로도 활동하고 있다.
    특히 선교학 분야에서는 오순절운동과 아프리카 독립교회들을 조직신학 분야에서는 성령론과 오순절-은사주의 신학에 관한 연구들을 그리고 실천신학분야에서는 교회학교, 교회성장 비지니스선교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와 논문을 발표하고 있고 주안대학원대학교 제4대 총장으로 2023년 3월부터 섬길 예정이다.
    상세약력보기 팝업닫기
    유근재 부교수

    유근재 부교수

    학력

    오순절신학/선교학
    침례신학대학교 신학과(B.A.)
    미국 Oral Roberts University(M. Div.)
    미국 Southwestern Baptist Theological Seminary(Th. M. cand.)
    영국 University of Birmingham(Ph.D.)
    영국 University of Oxford/Regent Park College(Visiting Scholar)
    호서대학교 벤처대학원 정보경영학 Ph.D cand.

    사역경력

    한국선교신학회 회장(2021-현재)
    오순절성령연구소 소장(2017-현재)
    한국벤처창업학회 이사(2020-현재)
    협동목사(믿음의 승리교회, 2014-현재)
    협동목사(세종 꿈의교회, 2021-현재)
    협동목사(주안장로교회, 2022-현재)
    협동목사(금란교회, 2016-2021)
    교육국장(연세중앙교회, 2011-2014년)
    영국침례교 협력선교사(Baptist Mission Society, 2007-2011년)
    공동담임목사, 청년부 담당목사(Birmingham, UK, 버밍엄한인교회, 2006-2011년)
    교육목사(Dallas, TX, USA 댈러스 순복음제일교회 2005-2006)
    협동목사, 셀 목자(Forth Worth, TX, USA, 포트워스 빛과소금의교회, 2003-2004년)
    Intern Pastor(Tulsa, OK, USA, First Baptist Church of Tulsa, 2002-2003년)
    필리핀 단기선교사(마닐라, 한사랑 선교회, 1996년)

    그 외 연구경력

    주안대학원대학교 교수(2015-현재까지)
    Visiting Ph.D Student(Dr. Michael Bergunder 교수사사, Heidelberg University, Germany, 2011년)
    Visiting Scholar(Dr. Anthony Cross 교수사사, Regent Park College. Oxford, UK, Oxford University, 2009-2010년)
    Visiting Ph.D Student(Dr. Andre Droogers 교수사사, Free University, Netherland, 2008년)
    Visiting Ph.D Student(Dr. Afe Adogame 교수사사, Edinburgh University, UK, 2007년)

    연구업적

    학위논문
    “An Analysis of the Historical and Theological Identity of the Korean Baptist Convention: An Indigenous Charismatic Movement”(2014, University of Birmingham)

    게재논문
    "미셔널 스타트업(Missional Start-Up) 역량개발 교육 모델에 관한 연구: “3 Step-SEES 모델”을 중심으로", 『선교신학』 제58집, 2020.
    "An Analysis of the Religious History and Pluralism in the Philippines for Effective Korea Church Mission", 『선교와신학』 제47집, 2019.
    "오순절주의의 교회성장요인 분석: 선교학과 전도학적 접근을 중심으로", 『선교신학』, 제53집, 2019.
    "한국 교회개척의 현재와 미래에 관한 선교학적 분석: 기독교한국침례회를 중심으로", 『선교신학』, 제49집, 2018.
    "21세기 오순절/은사주의운동의 선교학적 접근과 전망: 그들은 세계기독교 지형도를 어떻게 바꾸어 놓았는가?", 『선교신학』, 제41집, 2016.
    "은사주의자 Malcolm C. Fenwick: 기독교한국침례회의 전신인 동아기독교의 설립자인 캐나다 출신의 독립선교사인 그의 생애와 신학을 오순절 은사주의 입장에서 재조명", 『오순절신학논단』, 제13집, 2015.

    공역
    Allan H. Anderson, An Introduction to Pentecostalism, 유근재, 조규형 공역, 『땅끝까지: 21세기 오순절 개론』, 인천: 주안대학원대학교, 2019.

    학술대회활동
    발제: “오순절 신학의 화해와 일치” 선교적 입장에서 본 오순절
    대회: 한국오순절학회 제21차 학술발표대회 선교신학 분과 기조강연 및 발표
    일시: 2018년 10월 15일

    발제: Missiological Analysis of Korean Church Planting: Present and Future ? Focus on The Korean Baptist Convention
    대회: The 2018 ASM(American Society of Missiology) Annual Meeting at St Mary College, IN, USA
    일시: 2018년 6월 16일

    발제: Missional Church and Church Growth in Korea by Pentecostal and Charismatic Perspective
    대회: The 2017 ASM(American Society of Missiology) Annual Meeting at Wheton College, IL, USA
    일시: 2017년 6월 17일

    논찬: 한국의 CCM 운동과 복음주의 청년문화에 대한 논찬
    대회: 한국오순절학회 제198차 학술발표대회 실천신학 분과 논찬
    일시: 2016년 10월 17일

    발제: “Korean Charismatic Movement”
    대회: The 2016 SPS(Society for Pentecostal Studies) Annual Meeting will be held at Life Pacific College, in San Dimas, CA, USA 2016. Religion & Culture 분과 발표자로 초청 및 발표
    일시: 2016년 3월 10-12일

    기고: “영성, 지성, 실천이 균형을 이루는 올바른 신앙생활을 향하여”
    기독교 최대월간지중 하나인 Church Growth 교회성장 2016년도 2월호 Cover
    Story, 교회성장연구소

    발제: “21세기 오순절/은사주의운동의 선교학적 접근과 전망: 그들은 세계기독교 지형도를 어떻게 바꾸어 놓았는가?”
    대회: 한국선교신학회 정기학술대회
    일시: 2015년 12월 12일

    발제: “2001년부터 2015년 사이의 기독교한국 침례회의 교회개척전략과 그를 통한 교회성장”
    대회: 서산현대목회포럼(연구프로젝트): 서울신학대학교 부설 현대목회연구소 공동연구: 한국교회가 나아가야 할 미래적 방향과 전략, 선교적 관점에서 본 한국 주요교단의 교회성장 분석과 전략
    일시: 2015년 11월 17일

    발제: “은사주의자 Malcolm C. Fenwick: 기독교한국침례회의 전신인 동아기독교의 설립자인 캐나다 출신 독립선교사인 그의 생애와 신학을 오순절 은사주의 입장에서 재조명”
    대회: 한국오순절학회 제18차 학술발표대회 역사신학 분과 발표
    일시: 2015년 10월 19일

    발제: “오순절주의 신학과 은사주의 신학의 비교연구: 성령론을 중심으로”
    대회: 한국조직신학회 제56차 신진학자 학술발표회
    일시: 2015년 1월 12일

    발제: “Korean Diaspora Mission”
    대회: Edinburgh 2010 Pre-session 논문 발표 Diaspora Mission 분과, The University of Edinburgh New College 주최 The Commission VII Conference in Edinburgh
    일시: 2009년 9월 30일

    주요관심 분야

    성령론, 현대선교신학, 오순절(은사주의) 신학, 아프리카 독립교회운동, 선교적 측면으로서의 교회학교 및 청소년사역, 교회성장

  • 구자용 부교수
    Dr. theol. / Rheinische Friedrich-Wilhelms-Universität Bonn

    T. 032-446-5216   E. jiu_kuchayong@jiu.ac.kr

    상세약력보기상세약력보기
    구자용 교수는 구약학을 전공하였고, 현재는 구약학자로서 선교학을 함께 연구하고 있다. 구약에서 주로 연구해 온 분야는 지혜문학과 소위 다윗의 왕위계승사(삼하 9-20장; 왕상 1f장)에 공통으로 나타나는 지혜, 창조신학이며, 최근에는 차별, 생태신학 등 인간 삶에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성서해석에도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특히 구약의 본문을 선교적 해석을 통해 연구하는 것에 지속적인 관심을 기울이며, 학위논문을 지도하고 있다.
    상세약력보기 팝업닫기
    구자용 부교수

    구자용 부교수

    학력

    구약학
    총신대학교(B.A.)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M.Div.)
    독일 Rheinische Friedrich-Wilhelms-Universität Bonn(Mag. theol.)
    독일 Rheinische Friedrich-Wilhelms-Universität Bonn(Dr. theol.)

    연구경력

    주안대학원대학교 교수(2015년-현재까지)
    한국구약학회 구약논단 편집총무(2016-2018)
    한국연구재단 학문후속세대(박사후국내연수: 평택대학교) 연구원
    총신대, 서울신대, 안양대, 성결대, 명지대, 한남대에서 강사 역임

    연구업적

    학위논문
    박사)
    Weisheit in der Thronfolgegeschichte Davids. Eine literarkritische und literaturwissenschaftliche Untersuchung der Weisheitsdarstellung unter besonderer Berücksichtigung ihrer Ironiesierung (KAANT 9; Kamen: hartmut spenner, 2009).
    다윗의 왕위 계승사에 나타난 지혜. 지혜의 아이러니화를 주목하면서 본 지혜의 서술에 대한 문예비평적 그리고 문학비평적인 연구 (KAANT 9; 카멘: 하르트무트 스펜너, 2009).

    석사)
    Die Darstellung und implizite Wertung von weisen Männern und Frauen in der Geschichte von der Thronfolge Davids (Bonn: Bonn Universität, 2003).
    다윗의 왕위계승사에 등장하는 지혜로운 남자들과 여인들에 대한 서술과 거기에 함축된 의미 (본: 본 대학, 2003).

    저서
    구자용, 『다윗의 왕위 계승사: 전도서를 드라마화한 삶의 이야기』 (서울: 새물결출판사, 2022).

    역서
    Lux, Rüdiger, Die Weisen Israels: Meister der Sprache? Lehrer des Volkes? Quelle des Lebens, 구자용 역, 『이스라엘의 지혜』(고양: 한국학술정보[주], 2012).

    공저
    강철구 외, 『성서, 생태 위기에 답하다』 (파주: 한국학술정보[주], 2022).
    주안대학원대학교 편저, 『선교하는 교회에서 선교적 교회로: 선교적 교회의 9가지 주제』 (인천: 주안대학원대학교출판부, 2021).
    비블로스성경인문학연구소, 『혐오를 부르는 이름, 차별』, 파주: 한국학술정보, 2020.

    게재논문
    “전도서의 지혜가 드라마화된 다윗의 왕위 계승사: 사무엘하 10:1-5를 중심으로”, 『신학사상』 제191집 (2020), 237-265.
    “갈라디아서 4장 21-31절의 하갈과 사라의 비유에 대한 선교적 읽기”, 『신학사상』 제195집 (2021), 37-64.
    "SIEHE, DER MENSCH IST GEWORDEN WIE UNSEREINER UND WEIß, WAS GUT UND BÖSE IST.": Gen 3,22a als Ironie?", 『SACRA SCRIPTA』 Vol. XVIII no.1, 2020.
    Philipp Wenk, "Missionale Hermeneutik", 구자용 역, "선교적 해석학", 『미션네트워크』 제8집 , 2020.
    "힌네, 디메아트 하아슈킴!”(전 4:1b): 사회 정의와 인권에서의 차별에 대한 전도서의 교훈", 『미션네트워크』 제7집, 2019.
    "우리가 항상 좋은 것을 하나님께로부터 받는데, 악한 것을 또한 받지 못하겠느냐?"(욥 2:10): 욥기가 말하는 신정론에 대한 성서 신학적 고찰" 『구약논단』 제74집(25권 4호), 2019.
    "12 소예언서의 이방 민족들 : 이방나라들에 대한 심판의 말을 중심으로 본 12 소예언서의 구성에 관한 연구" 『구약논단』 제71집(25권 1호), 2019.
    "선교적 공동체로서 하나님의 백성의 공동체와 신약의 교회" 『선교신학』 제53집, 2019.
    "아모스서의 이방민족들에 대한 예언—심판과 구원의 동일한 대상으로서의 이스라엘과 이방민족들" 『한국기독교신학논총』 제108집, 2018.
    “다윗의 왕위계승사에 서술된 왕의 사법집행을 통해서 본 '아이러니화된 왕의 이데올로기’,” 『구약논단』 64집, 2017.
    “Imago Dei, dominium terrae, Missio Dei: 창세기의 인간 창조 서술에 대한 선교신학적 고찰,” 『선교신학』 43집, 2016.
    “Ironisierte Konigsideologie in der sog. Thronfolgegeschichte Davids unter besonderer Berucksichtigung des Gerichtsverfahrens des Konigs,” in: The books of Samuel : stories, history, reception history, edited by Walter Dietrich in cooperation with Cynthia Edenburg and Philippe Hugo, (BETL 284; Leuven/Paris/Bristol (Conn.): Peeters, 2016).
    “네 떡을 물 위에 던져라, 그리하면 여러 날 후에 찾으리라(전 11:1): 전도서가 말하는 세상을 사는 지혜,” 『피어선신학논단』 7집, 2015.
    “야웨 동물의 주: 신학적 동물학에 대한 고찰,” 『구약논단』 56집, 2015.
    “죽음?그 가장 아름다운 인간의 실존: 구약 성서적 창조와 지혜 전승의 관점에서 본 인간의 죽음에 대한 고찰,” 『구약논단』 49집, 2013.
    “‘보라, 이 사람이 선과 악을 아는 일에 우리 중 하나같이 되었다.’: 창 3:22a 아이러니적 사용?,” 『성서의 세계: 김두연 목사 회갑기념논문집』
    “메멘토 모리(Memento Mori), 카르페 디엠(Carpe Diem): 전도서 이해의 열쇠로서의 죽음에 대한 고찰,” 『구약논단』 43집, 2012.
    “죽음에 대응하는 이성(理性)으로서의 지혜-사무엘하 12장과 전도서 9장의 ‘미 요데아’와 ‘에인 요데아 하아담’을 중심으로,” 『Canon & Culture』 9호, 2011.
    “현실과 이상에서의 지혜의 서술 방식으로서의 HOKMAT ORMA,” 『구약논집』 6집, 2011.
    “삼하 11장 - 아이러니화된 왕의 지혜,” 『구약논단』 35집, 2010.

    학술대회활동

    발제: “Dramatisierung der konsequenten Erfahrungstheologie des Buches Kohelet in der Thronfolgegeschichte Davids”
    대회: 24rd Congress of the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the Study of the Old Testament
    일시: 2022년 8월 9일

    발제: “삶의 교훈으로서의 구약의 지혜: 잠언과 전도서의 지혜가 드라마화된 다윗의 왕위계승사를 중심으로”
    대회: 제114차 한국구약학회 추계학술대회
    일시: 2020년 10월 16일

    발제: "Siehe, der Mensch ist geworden wie unsereiner und weiß, was gut und böse ist.": Gen 3,22a als eine Ironie?
    대회: 23rd Congress of the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the Study of the Old Testament
    일시: 2019년 8월 5일

    발제: “아모스서의 이방민족들에 대한 예언”
    대회: 제105차 한국구약학회 추계학술대회
    일시: 2017년 9월 22일

    발제: “Imago Dei, dominium terrae, Missio Dei: 창세기 인간 창조 서술에 대한 선교 신학적 고찰”
    대회: 2016년 한국선교신학회 제2차 정기학술대회
    일시: 2016년 4월 30일

    발제: “다윗의 왕위계승사에 서술된 왕의 사법집행을 통해서 본 아이러니화된 왕의 이데올로기”
    대회: 99차 한국구약학회 추계학술대회
    일시: 2015년 09월 18일

    발제: “네 떡을 물 위에 던져라, 그리하면 여러 날 후에 찾으리라(전 11:1): 전도서가 말하는 세상을 사는 지혜”
    대회: 18회 피어선 학술대회
    일시: 2015년 5월 11일

    발제: “야웨 동물의 주: 신학적 동물학에 대한 고찰”
    대회: 98차 한국구약학회 춘계학술대회
    일시: 2015년 4월 17일

    논찬: “소형근, 페르시아 시대 이집트의 우자호레스네트와 유다의 에스라와 느헤미야”
    대회: 43차 한국기독교학회 정기학술대회
    일시: 2014년 10월 31일 ~ 11월 1일

    논평: “김진규, 성경신학적관점에서 본 한국교회 고난의 현주소”
    대회: 37차 한국개혁신학회 학술심포지엄
    일시: 2014년 10월 11일

    논찬: “윤성덕, 욥기에 나타난 고대 이스라엘의 사후세계관: 고대 서아시아의 사후세계관과 비교연구”
    대회: 96차 한국구약학회 추계학술대회
    일시: 2014년 9월 26일

    발제: “Ironisierte Königsideologie in der sog. Thronfolgegeschichte Davids unter besonderer Berücksichtigung des Gerichtsverfahrens des Königs”
    대회: Colloquium Biblicum Lovaniense in Katholieke Universiteit Leuven Begium
    일시: 2014년 7월 31일

    논찬: “김선종, 계약 신학과 정치 조약(겔 16-17)”
    대회: 95차 한국구약학회 춘계학술대회
    일시: 2014년 4월 25일

    논찬: “박철우, 삼단양식적 관점에서 본 전도서 11:1-12:8의 구조와 내용”
    대회: 제93차 한국구약학회 추계학술대회
    일시: 2013년 10월 4일

    발제: “죽음 ? 그 가장 아름다운 인간의 실존: 구약 성서적 창조와 지혜 전승의 관점에서 본 인간의 죽음에 대한 고찰”
    대회: 92차 한국구약학회 춘계학술대회
    일시: 2013년 4월 19일

    발제: “"우리가 하나님께 복을 받았은즉 화도 받지 아니하겠느냐(욥2:10)": 욥기가 말하는 신정론에 대한 성서신학적 고찰”
    대회: 105차 한국개혁신학회 정기학술발표회
    일시: 2013년 9월 14일

    논찬: “최종원, 신명기 계약 신학의 범주로서 아모스 읽기: 아모스서의 ‘서너 가지 죄’”
    대회: 90차 한국구약학회 추계학술대회
    일시: 2012년 9월 21일

    논평: “김희석, 잠언 31장 1-9절의 주해와 해석학적 기능: 르무엘 왕(잠31:1-9)과 현숙한 여인(잠31:10-31)의 상호관련성을 중심으로”
    대회: 98차 한국개혁신학회 정기학술발표회
    일시: 2012년 6월 9일

    발제: “‘보라, 이 사람이 선과 악을 아는 일에 우리 중 하나같이 되었다.’: 창 3:22a 아이러니적 사용?”
    대회: 7차 한국이스라엘학회 학술세미나
    일시: 2012년 5월 25일

    논찬: “박영준, 헤겔의 변증법을 통해 본 구약성서 지혜”
    대회: 89차 한국구약학회 춘계학술대회
    일시: 2012년 4월 20일

    발제: “메멘토 모리(Memento Mori), 카르페 디엠(Carpe Diem): 전도서 이해의 열쇠로서의 죽음에 대한 고찰”
    대회: 87차 한국구약학회 추계학술대회
    일시: 2011년 9월 23일

    논찬: “김구원, 한나는 어떻게 아들을 얻게 되었나?: 한나 이야기에 나타난 인큐베이션 전형장면 연구”
    대회: 86차 한국구약학회 춘계학술대회
    일시: 2011년 4월 29일

    발제: “미 요데아 ... 에인 요데아 하아담: 사무엘하 12장과 전도서에 나타난 죽음을 다루는 이성으로서의 지혜”
    대회: 89회 한국신학정보연구원 성서학 학술세미나
    일시: 2010년 11월 25일

    발제: “현실과 비현실 세계에서의 지혜의 서술 방식으로서의 HOKMAT ORMA”
    대회: 15차 한국복음주의 구약신학회
    일시: 2010년 6월 19일

    발제: “삼하 11장 ? 아이러니화된 왕의 지혜”
    대회: 83차 한국구약학회 학술대회 및 송년의 밤
    일시: 2009년 12월 4일

    발제: “Literarkritische und literaturwissenschaftliche Textanalyse am Beispiel von 2 Sam 11”
    대회: The Annual International conference (Fouth: in Europe; Hagen in Germany)
    일시: 2009년 7월 15-16일

    주요연구 분야

    구약학(특히 소예언서, 사무엘서, 지혜문학서, 시편); 창조신학, 구약지혜사상, 구약과 선교, 선교적 해석학(구약)

  • 조해룡 부교수 Th.D. / 장로회신학대학교

    T. 070-4162-5431   E. cucu3927@jiu.ac.kr

    상세약력보기상세약력보기
    조해룡 교수는 동서울교회, 부천제일교회, 고척교회에서 부목사로 사역했으며, 예장(통합) 총회 파송 인도네시아 선교사로 8년간 사역했다. 인도네시아 선교사로 사역하는 동안 알레데이아(Aletheia) 복음주의 신학교에서 5년간 학생들을 가르쳤고 이후 한국에 돌아와 호남신학대학교에서 교수로 5년간 사역했다. 연구 분야는 에큐메니칼 선교신학, 한국선교운동사, 현대선교신학, 선교적 교회, 그리고 성서와 선교이다.
    상세약력보기 팝업닫기
    조해룡 조교수

    조해룡 조교수

    학력

    선교학
    호남신학대학교 신학과 졸업(Th.B)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대학원 수료(M.A)
    장로회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 졸업(M.Div)
    장로회신학대학교 대학원 신학석사 졸업(Th.M)
    장로회신학대학교 대학원 신학 박사 졸업(Th.D)

    사역경력

    인도네시아 Aletheia Theological Seminary 선교학 교수 (2008-2013)
    총회 파송 인도네시아 선교사
    고척교회 부목사
    부천 제일교회 부목사
    동서울 교회 부목사

    연구경력

    호남신학대학교 선교학 교수(2014-2018)

    연구업적

    학위논문
    "선교적 교회론 연구 - 레슬리 뉴비긴, 위르겐 몰트만, 대럴 구더를 중심으로 " (2010)

    저서
    『레슬리 뉴비긴 읽기』 (도서출판 케노시스, 2017)
    『하나님, 교회, 세상』 (도서출판 소망, 2013).

    공역 및 공저
    Kenneth R. Ross, Jooseop Keum,
    Kyriaki Avtzi and Roderick R. Hewitt ed., Ecumenical Missiology: Changing Landscapes and New Conceptions of Mission 『에큐메니칼 선교학』 (2018)
    PCK 저널 Ⅲ (2018)
    PCK 저널Ⅰ (2015)

    게재논문
    "코로나 팬대믹 상황속에서 선교적 교회의 교회론적 변호와 선교적 대응, 『선교신학』 제62집, 2021.
    "선교적 교회론 출현에 있어서 ‘교회와 선교’의 패러다임 변화에 관한 신학 논쟁: 에큐메니칼과 복음주의의 선교신학 논쟁을 중심으로", 『선교신학』 제59집, 2020.
    "위르겐 몰트만(J. Moltmann)의 신학 사상에 나타난 에큐메니칼-선교적 교회론 연구, 『선교와 신학』 제51집, 2020.
    "사도바울의 선교사상에 나타난 삼위일체 하나님과 선교적 공동체 연구", 『복음과 선교』 제49집, 2020.
    "영국의 GOC와 북미의 GOCN의 선교적 교회운동의 선교신학적 고찰과 한국 교회적용에 관한 연구" 『선교신학』 제57집, 2020.
    "한국 최초 근대 여성교육의 선구자 메리 F. 스크랜턴의 선교사상과 조선선교" 『선교신학』 제55집, 2019.
    "한국 최초 방문 선교사 칼 귀츨라프(Karl F. Gützlaff)의 선교 사상과 조선 선교 연구", 복음과 선교』 제45집, 2019.
    "선교적 교회를 위한 목회 활성화 방안 연구: 교회 예전과 목회행정 구조 변화를 중심으로" 『선교신학』 제52집, 2018.

    연구 논문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한국 선교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가?"(선교신학,2018)
    "위르겐 몰트만의 에큐메니칼 교회론"(신학이해,2017)
    "공적 제자도를 이루는 생태학적 선교적 교회론 연구"(선교신학,2016)
    "역사 마당을 통해서 본 '교회와 복음전도'의 상관관계"(신학이해,2016)
    "21세기 문화 속에서 복음의 공공성 회복을 위한 교회의 선교적 과제"(선교신학,2016)
    "레슬리 뉴비긴의 에큐메니칼 교회론"(선교신학,2015)
    "북미적 상황 속에서의 선교적 교회 운동 연구"(신학이해,2015)
    "세계 교회협의회에 나타난 '선교와 교회'의 패러다임 변화"(신학이해,2015)
    "다원주의 사회에서의 공적 진리로서 복음과 문화의 만남"(신학이해,2014)

    학술대회 활동
    발제: 4차 산업혁명시대 한국선교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가?
    대회: PCK 선교전략회의 (인도네시아)
    일시: 2018년 1월

    발제: 하워드 스나이더의 공적 제자도를 이루는 생태학적 선교적 교회론
    대회: 호남신학대학교 학술 세미나
    일시: 2016년 10월

    논찬: 중앙아시아 선교와 역사
    대회: PCKWM Summit (터키)
    일시: 2015년 11월

    발제: 대럴구더의 선교적 교회론
    대회: 한국 복음주의 선교학회 정기 학술 대회
    일시: 2014년 10월

    주요연구 분야

    에큐메니칼 선교, 현대 선교신학, 선교적 교회, 타문화 선교, 성서적 선교신학, 교회와 선교 전도의 이론과 실제

겸임교원
  • 이승병 겸임교수 Ph.D. / 주안대학원대학교

    E. jccrew@jiu.ac.kr

    상세약력보기상세약력보기
    이승병 교수는 다음세대 전문가로서 20여년간 교회현장에서 청소년 사역자로서 또한 담임목사로서 풍부한 현장경험을 가진 현장 목회자이자 선교학자이다. 최근까지 세계최대감리교회로 알려진 금란교회의 청소년부를 다년간 담당하여 큰 부흥을 이루어냈으며 현재는 금란교회의 선교국장으로 우크라이나, 말레이시아, 필리핀, 미얀마, 캄보디아, 일본, 영국, 우간다 등을 다니며 해외 선교활동을 총괄하고 있으며 또한 교회의 대외협력을 담당하는 비서목사로 섬기고 있다. 더불어 현재 한국침례신학대학교 실천신학 외래교수, 한국선교신학회 부총무, 뉴마미니스트리의 총제작 등으로 현장사역과 교수사역을 활발히 병행하고 있다. 신학대학원 졸업시 최우수 총장상과 박사과정 졸업시 최우수 이사장상을 수여받았다. 주요연구 분야는 전반적인 실천신학 분야로서 전도, 청소년 사역, 도시선교, 오순절/은사주의 운동, 성령론적 선교신학, 선교적 다음세대 사역, 교회성장, 예배와 문화 등이다.
    상세약력보기 팝업닫기
    이승병 겸임교수

    이승병 겸임교수

    학력

    선교학/전도학
    한국침례신학대학교 신학과 (B.A.)
    한국침례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 (M.Div.)
    영국 King's College London (M.A.)
    주안대학원대학교 (Ph.D.)

    사역경력

    금란교회 선교국장, 비서목사, 청소년부 (2016년~현재)
    한국선교신학회 부총무 및 서기 (2020년~현재)
    뉴마미니스트리 워십 및 렉처 총제작 (2021년~현재)
    정암유스미션 연구소장 (2019년~현재)
    오순절성령연구소 부소장 (2017년~현재)
    믿음의승리교회 협동목사 (2016년~현재)
    믿음의승리교회 설립 담임목사 (2013~2016년)
    런던윔블던한인교회 청소년부 담당목사 (2011~2012년)
    런던구세군한인교회 청소년부 담당목사 (2010~2011년)
    대전대흥침례교회 중등부 담당목사 (2009~2010년)

    연구경력

    주안대학원대학교 전도학 겸임교수 (2022년~현재)
    한국침례신학대학교 실천신학 외래교수 (2020년~현재)

    학위논문
    "성령론적 선교신학을 통한 현대 청소년 선교연구" (2019, 주안대학원대학교)

    공저
    이승병 외 9인, 『선교하는 교회에서 선교적 교회로』 인천: 주안대학원대학교 출판부, 2021.

    공역
    Billy Wilson, Generation Z: Born for the Storm, 유근재, 이승병 공역, 『Z세대, 폭풍을 위해 태어나다』 인천:주안대학원대학교 출판부, 2022.

    게재논문
    "코로나-19 시대의 Z세대 선교: 오순절 선교의 ‘세 가지 대결’을 중심으로", 『선교신학』 제66집, 2022.
    "청소년 사역에 대한 선교학적 접근 연구", 『복음과선교』 제48권, 2019.
    "민족에서 세대로 보는 선교: 성령론적 선교신학을 통한 청소년 선교", 『선교신학』 제55집, 2019.

    학술대회 활동
    논찬: “오순절 교회의 통전적인 성령사역”에 대한 논찬
    대회: 한국선교신학회 2022년 제3차 정기학술대회
    일시: 2022년 6월 11일 토요일

    발제: "코로나-19 시대의 Z세대 선교: 오순절 선교의 ‘세 가지 대결’을 중심으로"
    대회: 한국선교신학회 2022년 제1차 정기학술대회
    일시: 2022년 2월 19일 토요일

    발제: "청소년 사역에 대한 선교학적 접근 연구"
    대회: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제99차 정기학술대회
    일시: 2019년 9월 28일 토요일

    발제: "민족에서 세대로 보는 선교: 성령론적 선교신학을 통한 청소년 선교"
    대회: 한국선교신학회 2019년 제2차 정기학술대회
    일시: 2019년 4월 20일 토요일

    기고: “금란교회 청소년부 교사 교육 매뉴얼”
    기독교 최대 월간지 중 하나인 『교회성장』 Church Growth, 2018년도 10월호, 교회성장연구소.

    2018년도 『교회성장』에 정기적으로 청소년부 설교기고.

    발제: Towards Pneumatological Youth Ministry
    대회: The 2018 ASM (American Society of Missiology) Annual Meeting at St. Mary's College, IN, USA.
    일시: 2018년 6월 16일

    주요연구 분야

    전도학, 청소년 사역, 도시선교, 오순절/은사주의 운동, 성령론적 선교신학, 선교적 다음세대 사역, 교회성장, 예배와 문화 등.

  • 조영창 겸임교수 Ph.D. / Graduate Theological Union at Barkeley

    E. ephraim99@jiu.ac.kr

    상세약력보기상세약력보기
    조영창교수는 미국 캘리포니아 버클리에 있는 연합신학대학원(Graduate Theological Union)에서 설교학(Homiletics) 전공으로 철학박사(Ph.D.) 학위를 받았다. 유학을 위해 도미하기 전 서울의 서교동교회, 숭덕교회, 영동교회(양재동)에서 교육전도사와 교육목사로 청소년 사역과 아동부 사역을 경험했다. 유학기간 동안 몇몇 미자립 한인교회들에서 장년 목회와 청소년부 목회를 경험하였다. 귀국 후 2013년부터 지금까지 주안교회의 부목사로 사역해오고 있다. 선교적 교회를 위한 설교와 예배, 현대설교이론, 성례 신학 등에 관심을 두고 있다.
    상세약력보기 팝업닫기
    조영창 겸임교수

    조영창 겸임교수

    학력

    B.E. 영남대학교 토목공학과
    M.Div. 장로회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
    Th.M. 장로회신학대학교 대학원
    Th.M. 듀크대학교 신학부
    Ph.D. 버클리 연합신학대학원(Graduate Theological Union at Berkeley, CA, USA)

    사역경력

    주안교회(2013~)

    연구경력

    학위논문(Ph.D)
    Understanding Metaphorical Sermons As Texts: Gadamer, Metaphor, and Theological Interpretation of Sermons(Graduate Theological Union at Berkeley, 2011)

    저서
    『은유 설교와의 대화: 가다머의 해석학적 이해를 중심으로』(서울: 예배와 설교 아카데미, 2022)

    게재논문

    “라우리(E. Lowry)의 설교학적 플롯(Homiletical Plot)과 그 논쟁점들.” 「장신논단」제43호 (2011)

    “하나님의 말씀을 듣고 설교하라!: 설교를 위한 렉시오 디비나 활용에 관한 연구.”「설교한국」 제15권 (2022)

    학술대회활동
    발제: “라우리(E. Lowry)의 설교학적 플롯(Homiletical Plot)과 그 논쟁점들”
    대회: 한국실천신학회 정기학술세미나
    일시: 2019년 2월

    주요연구 분야

    선교적 설교, 선교적 예배, 설교학, 예배학


그누보드5

22140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석바위로 74번길 11(주안동) 주안대학원대학교   TEL.032-446-5200   FAX.032-428-9779

copyright 2020 ⓒ 주안대학원대학교. All rights reserved.

페이스북